출처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07773.html
※ ‘강민혁의 자기배려와 파레시아’ : 한겨레신문 '책과 생각' 섹션에 철학에서 정치경제학까지 다양한 인문서를 4주마다 소개합니다.
경계에 선 상상력과 미래의 이성
강민혁 / <자기배려의 책읽기> 저자, 철학자
우연히 음악에 홀려, 가던 출근길을 멈췄다. 무심히 라디오에서 어느 퀸텟의 재즈 연주가 들렸다. 묵직한 피리의 즉흥적인 유희, 찢어질 듯 파고드는 나팔의 괴성, 점점 고조되다 마침내 작렬하는 북소리. 서로 어울리지도 않고, 심지어 기괴하기까지 해서, 도무지 가늠되지 않는 음들이 정수리를 난타하고 가슴을 파고들었다. 음치에다 재즈 문외한인 내게 그것은 분명 경악스러운 소리인데도, 나는 그게 무슨 악기인 줄도 모르고 빠져들었다.
마음은 대략 세 가지 판단들로 붐빈다. 광주리 안에 사과가 있을 때, 눈을 떠서 사과가 있음을 아는 것은 지각의 인식판단이다. 내 손으로 사과를 들어서 탁자 위에 놓는 것은 욕구의 실천판단이다. 창문 밖 햇빛에 반짝이는 사과가 문득 아름다우면 그것은 느낌의 취미판단이다. 마음에는 이 판단들과 함께 생각이 포도알처럼 주렁주렁 달린다.
칸트는 ‘판단력’(Urteilskraft)을 “특수한 것을 보편적인 것 아래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고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한다. 예컨대 ‘이것은 사과다’라고 판단하려면 동그라미, 빨강, 껍질을 눈으로 지각하기만 해선 불가능하다. 먼저 ‘사과’ 개념이 기준으로 서 있어야 눈으로 지각된 동그라미, 빨강, 껍질의 묶음을 비로소 ‘사과’라고 규정할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진·위나 선·악을 그렇게 판단한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신기한 일이다. 어떻게 우리는 동그라미, 빨강, 껍질의 지각 묶음을 수많은 개념 중에 하필 ‘사과’라는 개념에 일치시킬 수 있었을까. 왜 그것은 ‘포도’나 ‘사람’으로 연결되지 않는가. 왜 그것은 빨간 껍질을 가진 포도, 동그란 머리카락과 빨간 껍질로 뒤덮인 사람이 아닌가.
이유는 바로 ‘상상력’ 때문이다. 상상력은 모사하고 지어내는 능력이다. 우리는 사과가 눈앞에 없어도 심상에 사과의 형상을 떠올릴 수 있다. 그게 흔히 말하는 ‘표상’이다. 이 불가사의한 능력 덕분에 동그라미, 빨강, 껍질로 구성된 물체가 눈앞에 나타나면 우리는 그것을 ‘사과’ 개념과 어김없이 일치시킨다.
그러나 모든 것이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인식될 뿐이면 세상이 너무 따분할 것 같다. 토요일 밤처럼 알 수 없는 두근거림, 배낭여행 같이 길 없는 설렘은 없는 걸까.
아니나 다를까, 아름다움이나 숭고에 관한 판단은 설렘과 두려움 속으로 흔쾌히 진입한다. 그것은 눈앞에 특수한 현상만 있고 아직 보편적인 기준이 주어져 있지 않다. 아름다움이나 숭고에 대한 절대적 기준은 있을 턱이 없는 것이다.
특히 칸트의 숭고에 대한 논의는 눈부시다. 숭고는 그것과 비교하면 다른 모든 것이 작다고 느끼는 것이다. 내가 에베레스트 산 앞에 홀로 서 있다고 해보자. 그것은 감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광대하고 강력한 것이다. 너무 크고 강력해서 그 느낌을 사전에 정해진 기준과 일치시킬 수가 없다.
이 지점에서 묘한 아이러니가 돋아난다. 맞닥뜨린 대상이 이성이 요구하는 크기와 힘을 넘어서자, 상상력은 자신의 한계까지 몰린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볼륨을 끝까지 올려놓은 극한에서 놀랍게도 상상력과 다투던 이성이 고무된다. 상상력의 최대치가 이성의 이념에 비교해 얼마나 미미한가! 오히려 불일치를 통해 미래의 이성이 새로운 법열(法悅)로 솟아난다.
소리 하나가 누군가에게 세상 전부가 될 때가 있다. 혜능은 지나가는 탁발승의 <금강경> 독송을 듣고 그날로 출가했다고 한다. 혜능에 비교할 바 아니지만, 우리도 무언가 보거나 들음으로 다른 세상을 만나기도 한다. 나도 그런 소리를 들은 걸까. 내 귀에 새 꽃이 돋기를, 그 꽃이 온몸에 만개하기를 기원해본다.
'■ [한겨레ㆍ책과 생각] 강민혁의 자기배려와 파레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잃은 개 - 리링 (0) | 2019.12.01 |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루크레티우스 (0) | 2019.12.01 |
주자어류선집 - 미우라 구니오 역주 (0) | 2019.12.01 |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외 - 발터 벤야민 (0) | 2019.12.01 |
담론과 진실 - 미셸 푸코 (0) | 2019.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