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0 제6회 공방초대석 - 진태원, '을의 정치적 존재론' 제6회 공방 초대석 을의 정치적 존재론 발표: 진태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토론: 구준모 (플랫폼C), 황재민 (현대정치철학연구회) ▲ 일시: 2021년 7월 3일 (토) 오후 3시 ▲ 장소: 마포구 망원동 338-73 2층 ▲ 온/오프라인 참가 신청: https://bit.ly/35IVn5G - 오프라인 참가는 인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참가 신청자에게는 행사 당일 1시간 전에 줌(ZOOM) 링크를 발송합니다. ▲ 문의: zdknight@hanmail.net / 010-6253-9514 / 010-2700-9528 2021. 6. 22. [플랫폼c 월례포럼] 『대중과 폭력』 재출간 북토크 91년 5월 투쟁 30주년 『대중과 폭력』 재출간 북토크 □ 플랫폼c에서는 매월 사회운동 이슈를 주제로 삼는 월례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번에는 현대정치철학연구회와 함께 1991년 5월 투쟁 30주년 재출간 북토크를 열어 저자 김정한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 일시 : 2021년 5월 22일(토) 오후 3시 □ 장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41 (2층) □ 문의 : 텔레그램 @mkmodus □ 참가신청 : http://bit.ly/3vBwNOW 2021. 5. 22. [학술회의] After 5.18: 운동과 사상의 5.18 5.18민중항쟁 제41주년기념 학술회의 After 5.18: 운동과 사상의 5.18 ▲ 일시: 2021년 5월 26일(수) 14:00 ~ 18:00 ▲ 장소: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국제회의실 ▲ 주관: 현대정치철학연구회 ▲ 주최: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김대중평화센터 ▲ 후원: 서울시 ▲ 행사 순서: 개회사 최수동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회장 김성재 김대중평화센터 상임이사 1부 운동의 5.18 ○ 5.18 이후 한국의 과거청산 사회: 김정한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발표: 정원옥 (문화과학) 5.18 이후 한국의 과거청산과 사회적 기억 토론: 이유재 (튀빙겐대 한국학연구소) ○ 5.18 이후 한국 학생운동과 일본 사회운동 사회: 정정훈 (서울과기대) 발표: 아.. 2021. 5. 14. [세미나] 자크 데리다 읽기 ― «법의 힘», «에코그라피», «마르크스의 유령들» 현정철 攻防 세미나 자크 데리다 읽기 ― «법의 힘», «에코그라피», «마르크스의 유령들» 위의 순서대로 자크 데리다의 국역본들을 찬찬히 읽어 나가고자 합니다. 데리다 사상에 대한 입문이 목표이며 그 외 데리다의 국역본들도 이어 나갈 예정입니다. (모임 형태는 비대면과 대면 중 신청 인원과 사회적 거리 두기 상황에 따라 판단하겠습니다.) ------------------------------------------- - 시간 : 3월 26일부터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 - 회비 : 월 4회 기준 2만 원. 카카오뱅크 3333-11-6041114. 예금주 황재민 - 신청 : forms.gle/S2rBsiibpYsH5Nn56 - 문의 : 이보경 (unitiuga9@gmail.com) 2021. 3. 18. [세미나]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를 위하여» 현정철 攻防 세미나. 푸코×알튀세르 겹쳐 읽기. 4부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를 위하여» 저희 세미나 모임은 그 동안 푸코의 «감시와 처벌»,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알튀세르의 «재생산에 대하여»,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의 철학» 등을 함께 읽어 왔습니다. 앞으로 두 달 정도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서관모 옮김, 후마니타스, 2017)를 읽고자 합니다. 당장은 줌을 통해 모이려고 하지만, 방역 상황이 허락하는 대로 곧장 현정철 공방에서 모여 진행하고자 한다는 점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 ------------------------------------------- - 시간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부터 - 시작 : 3월 28일 일요일. 첫날은 발리바르의 1996년 서문과 알튀세르의 .. 2021. 3. 1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