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0 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출처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22286.html#csidxdddf18be5cf33f594690b6b36768032 ※ ‘강민혁의 자기배려와 파레시아’ : 한겨레신문 '책과 생각' 섹션에 철학에서 정치경제학까지 다양한 인문서를 4주마다 소개합니다. 자기로의 귀환, 새로운 권력을 만나다 강민혁 / 저자,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세로부터 유스티니아누스 치세에 이르는 4세기 동안 지중해 세계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는다. 그 변화를 이끈 것은 바로 그리스도교 교회였다. 초기 호교가(護敎家)들과 신학자들은 자신들을 반대하는 자들, 즉 이교도로 불리는 ‘철학자’의 무기를 적극적으로 빌려다 사용한다. 그것은 적의 무기를 빼앗아 그 무기로 적과 싸운 꼴이었다. .. 2019. 12. 27. 신의 화살 - 치누아 아체베 2019. 12. 25. [세미나] 모이라 게이튼스 <상상적 신체> 읽기 현정철 攻防 세미나 모이라 게이튼스 『상상적 신체』 읽기 호주의 ‘여성’ 철학자 모이라 게이튼스의 『상상적 신체』를 함께 읽습니다. 상상적 신체란, 그 시대의 제도적 담론과 실천에 의해 가치와 지위가 매겨진 신체를 말합니다. 여성의 신체는 ‘결여’로 상상되며 ‘완전’한 남성에 권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해 왔습니다. 여성 신체에 대한 상상적 이해가 여성의 역량과 법적 지위, 정치적 대우를 구성하는 것이죠. 이렇게 성적 상상계가 정치적 상상계 및 사회적 상상계와 공모한다고 보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젠더’라는 만능키를 찾아낸 전통적 섹스/젠더 구별을 넘어서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차를 본질화하는 오류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이튼스는 ‘탈젠더화’라는 단순한 전략을 비판하고자 정신분석학을 경유.. 2019. 12. 24.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기 2020 현정철 공방 강좌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기 1. 강의 개요 이번 강의에서는 지난 11월 출간된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비판 없는 시대의 철학』을 다루겠습니다. 이 책은 『을의 민주주의』(2017)보다 2년 뒤에 출간되었지만, 사실 『을의 민주주의』보다 먼저 출간되었어야 하는 책이며, 『을의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를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1980년대 말 ~ 1990년대 초에 우리나라에 대대적으로 수입된 ‘포스트 담론’이 애도의 담론으로 작용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지난 30년 동안 우리 사회의 지적ㆍ정치적 흐름을 검토하면서 새로운 비판 철학 또는 철학적 비판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3부로 이루어진 이 책에서는 ‘포스트 담론 .. 2019. 12. 24. 12/14 공방 초대석(진태원) 신청 마감 비록 당일이긴 합니다만 오늘 치를 제4회 공방 초대석 "진태원,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는 더 이상 참가 신청을 받기가 어려울 것 같아 공지합니다. 현정철 공방의 자리가 넉넉지 않아 대단히 송구스러운 마음입니다. 양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1월에 개강할 공방 강좌를 통해 길게 시간을 두고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정치철학연구회 드림 2019. 12. 14.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