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0 (23) 외화벌이로 점철된 고난과 희생의 서사…그들은 부끄럽지 않았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11102125005&code=960100#csidxe89b1e0cc46d85e986cd661d34372b6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23) 외화벌이로 점철된 고난과 희생의 서사…그들은 부끄럽지 않았다 이유재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교수 파독 광부 ‘파독 광부·간호사’에 대한 기억은 한국에서 대체로 긍정적이다. 그들이 1960~1970년대 보릿고개 시기에 멀고 먼 타지에 가서 어려운 노동조건하에 외화를 벌어 고국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했다는 서사가 지배적이다. 그들이 본인을 위해서는 거의 돈을 쓰지 않고, 봉급의 대부분을 고국에 있는 가족에게 매달 송금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몇 년 .. 2020. 11. 12. <14> 국가보안법의 단초가 된 '여순사건'의 비극 원문보기: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10609440005508 손호철의 발자국 전남 여수 순천 국가보안법의 단초가 된 '여순사건'의 비극 편집자주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코로나19시대 '의미있는 여행'의 안내자가 되고자 한다. 여수·순천(여순)과 제주. 모두 남쪽에 있는 대표적인 관광지다. 남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지만 별다른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 않다. 이 두 지역은 한국현대사에 아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두 지역의 대표적 비극인 제주의 4·3과 ‘여순사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기 때문이다. “.. 2020. 11. 9. 꿈의 해석 - 지그문트 프로이트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68803.html?fbclid=IwAR36BOYBP-n5mxdeN7RBW3pvyOykim2jTQ7KhodKAbYF4tBnt-EcCDwqEGU#csidxf2d7b60cb30ef91b08982ab040408ef 무의식, 미래를 만드는 전사 어느 여름날 프로이트는 벨뷔 집에서 ‘이르마의 주사 꿈’이라는 역사적 꿈을 꾼다. 그는 이 꿈을 해석하고 나서 친구 플리스에게 이렇게 쓴다. “자네는 언젠가 그 집에 다음과 같은 문구가 새겨진 대리석 탁자가 놓이는 것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 1895년 7월24일 이 집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꿈의 비밀이 드러나다.” 밖으로 나타난 ‘꿈-내용’(Trauminhalt)은 간략하다. 프로.. 2020. 11. 6. [서강트인나루 북토크]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산하 지역인문학센터 ‘서강트인나루’에서 의 저자 김정한 선생님을 모시고 2020년 11월 19일(목) 오후 4시, 여섯 번째 북토크 을 진행합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12년 동안 혁명을 꿈꾸던 사람들이 흩어진 1991년 5월 이후의 사회운동과 정치철학의 풍경을 다시 돌아보았습니다. 가 궁금한 분들은 아래 주소로 신청해주세요. 북토크 당일 ZOOM 접속 주소를 개별적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강연: 김정한 ( 저자,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사회: 임지현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토론: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진태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일시: 2020년 11월 19일(목) 오후 4시-6시 장소: CGSI ZOOM 온라인 .. 2020. 11. 6. [좌담회] 알프 뤼트케 선집 출간 기념 특별 좌담회 <한국 일상사 연구, 어디로 갈 수 있는가> 알프 뤼트케 선집 출간 기념 특별 좌담회 한국 일상사 연구, 어디로 갈 수 있는가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에서는 출간을 기념하여 이 책의 엮은이와 옮긴이, 그리고 한국 일상사 연구자들을 모시고 독일 일상사 연구의 성과와 한국 일상사 연구의 현황 및 과제를 살펴보는 특별 좌담회를 진행합니다. 독일과 한국이라는 서로 다른 역사적 공간을 넘나드는 트랜스내셔널한 대화가 일상사 연구와 문제의식에 어떤 파열음과 불협화음을 낳고 어떤 지적 긴장을 불어 넣을 수 있는가를 고민해보려 합니다. 좌담회 당일 ZOOM 접속 주소를 개별적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사회: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엮은이의 말: 이유재(튀빙겐대) 토론: 김영미(국민대) 정일영(서강대) 황병주(역사문제연구소) 옮긴이의 말.. 2020. 11. 6.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