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정치철학연구회

분류 전체보기220

마르크스주의의 탈구축: 착취, 배제, 리프리젠테이션 현정철 공방 강좌.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기. 보강(9강) 5.27 문의 zdknight02@gmail.com 2020. 5. 17.
[세미나] 에티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 개조 에티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 개조 현정철 攻防 세미나. 푸코×알튀세르 겹쳐 읽기. 2-2부 한두 달 간 에티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에서 이데올로기의 동요」(«대중들의 공포» 3부)와 「이데올로기 또는 물신성」(«마르크스의 철학» 3장)를 읽을 계획입니다. ◇ 시간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부터 ◇ 시작 : 5월 24일(일) ◇ 회비 : 월 4회 기준 2만 원 (카카오뱅크 3333-11-6041114. 예금주: 황재민) ◇ 신청 : https://forms.gle/o2xLpfkJ3KFFqmBh7 ◇ 문의 : lemonaid79@hanmail.net 2020. 5. 16.
⑧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모든 것을 무릅쓴 이미지들» 2020. 5. 15.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 마르틴 하이데거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45042.html 철학은 소용돌이다 미셸 푸코는 자신의 철학적 형성이 하이데거를 통해서 결정되었다고 회고한다. 그는 하이데거를 읽지 않았다면 니체도 읽지 않았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또 1982년 강의에서 주체와 진실의 관계에 대해 질문한 20세기 철학자는 라캉과 하이데거 이외에 드물며, 자신의 강의를 그 하이데거의 편에서 시도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지적 여정의 결정적인 순간마다 푸코에게 하이데거가 숨어 있었다. 물줄기를 따라 산에 오르듯, 푸코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읽는 하이데거는 박진감이 넘친다. 알려지지 않은 하이데거의 주저이자 강의록 의 저 도발적인 제목을 보라. 중세 교회의 종탑에서나 튀어나올 법한 ‘형이상학’이.. 2020. 5. 15.
(10) 요란한 ‘문화 스펙터클’이 지우려 했던 기억은 ‘5·18 광주’였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122145005&code=940100#csidxf4120ce2df4a6e4acf873c1f364f05f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0) 요란한 ‘문화 스펙터클’이 지우려 했던 기억은 ‘5·18 광주’였다 배주연 |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국풍81’과 프로야구 출범 “우리 문화에의 애착이 뿌리내릴 터전을 마련하고, 젊음의 지성과 낭만을 펼칠 마당을 마련하여 ‘국풍81’이라 이름하고 전국 대학생과 시민이 동참하는 큰 잔치를 열고자 합니다. 5월의 대지 위에 신록과 훈풍이 나부끼는 젊은이의 광장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5월28일(목)부터 6월1일(월)까지 다채로.. 2020.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