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정치철학연구회

전체 글216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기 2020 현정철 공방 강좌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기 1. 강의 개요 이번 강의에서는 지난 11월 출간된 진태원의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비판 없는 시대의 철학』을 다루겠습니다. 이 책은 『을의 민주주의』(2017)보다 2년 뒤에 출간되었지만, 사실 『을의 민주주의』보다 먼저 출간되었어야 하는 책이며, 『을의 민주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를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1980년대 말 ~ 1990년대 초에 우리나라에 대대적으로 수입된 ‘포스트 담론’이 애도의 담론으로 작용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지난 30년 동안 우리 사회의 지적ㆍ정치적 흐름을 검토하면서 새로운 비판 철학 또는 철학적 비판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3부로 이루어진 이 책에서는 ‘포스트 담론 .. 2019. 12. 24.
12/14 공방 초대석(진태원) 신청 마감 비록 당일이긴 합니다만 오늘 치를 제4회 공방 초대석 "진태원,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는 더 이상 참가 신청을 받기가 어려울 것 같아 공지합니다. 현정철 공방의 자리가 넉넉지 않아 대단히 송구스러운 마음입니다. 양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1월에 개강할 공방 강좌를 통해 길게 시간을 두고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읽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정치철학연구회 드림 2019. 12. 14.
현정철 2019 송년회 2019. 12. 12.
공통체 - 안토니오 네그리ㆍ마이클 하트 출처 :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18953.html ※ ‘강민혁의 자기배려와 파레시아’ : 한겨레신문 '책과 생각' 섹션에 철학에서 정치경제학까지 다양한 인문서를 4주마다 소개합니다. 서로 향유하며 새로운 우리를 생산하다 강민혁 / 저자, 철학자 나는 몇몇 친구와 함께 매주 한 권씩 현대 소설을 읽은 적 있다. 한 사람은 작가, 다른 한 사람은 그 작가의 시대, 또 어떤 사람은 소설의 배경과 주인공을 조사해 왔다. 모이면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가며 서로 이야기했다. 그러자 숨겨진 장면들이 살아나 내게 다가왔다. 우리는 각자 내놓은 것들을 향유하면서, 동시에 뭔가를 생산하고 있었다. 네그리와 하트라면 우리가 그때 누리고 생산하던 것을 ‘공통적인 것’(.. 2019. 12. 12.
12/20 공방 초대석(차은정) 신청 마감 12/20(금)에 치를 제5회 공방 초대석 "차은정, 연결/절단에서 생성되는 너머의 사고"는 벌써 신청해 주신 분들로 당일 현정철 공방이 꽉 찰 것 같아 더 이상 참가 신청을 받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차은정 선생님, 그리고 차은정 선생님께서 최근 번역한 스트래선의 ≪부분적인 연결들≫(오월의봄, 2019)에 대한 관심이 큰 것 같은데요. 사정이 허락한다면 내년 초에 나올 선생님의 또 다른 역서(후쿠시마 료타, ≪부흥 문화론≫, 리시올, 근간)를 가지고 자리를 만들거나 관련 주제들로 공방에서 세미나, 강좌 등을 짜 보도록 하겠습니다. 양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2019. 12. 12.
성의 역사 4권 서평 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18968.html?_fr=fb#cb#csidx6005a0dfcfe602eb65c7d60c6014ea0 새로운 삶의 스타일을 위하여! 김상운/전문번역가, 철학연구자 생각지도 못한 속도로 우리에게 닿은 4권 이 출판됨으로써 말년의 푸코가 무엇을 고민했는지 더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성의 역사 4권이 저자 사후 34년 만에 프랑스에서 출간된 때가 2018년 초. 이 책은 원래 1982년 가을에 거의 완성되었다가 84년 6월25일 푸코가 숨을 거둔 이후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자세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푸코의 저작이 미칠 파장을 진지하게 고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로써 한국에서는 2010년 1권이 나온 뒤 10년 만에 4권.. 2019. 12. 5.
제5회 차은정. 연결/절단에서 생성되는 너머의 사고 현대정치철학연구회 공방 초대석 제5회. 차은정 연결/절단에서 생성되는 너머의 사고 : 『부분적인 연결들』을 통해 보는 21세기의 사상 사람들은 세상을 읽어낼 수 없다고 말한다. 세상이 변하고 있으니 당연한 일이다. 그렇지만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고 앞으로 어떤 세상이 펼쳐질지 말하는 이는 드물다. 이는 무엇보다 그러한 사상의 전환을 지식의 장으로 안내해야 하는 한국의 지식계가 자기 소임을 방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식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아카데미즘이 ‘지식의 직업화’의 외피를 두른 채 세상의 변화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는 데에만 급급한 나머지 이제는 그러한 소임과 역할을 감당할 역량이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아니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로” 되돌려주고 “새 술은 새 부대.. 2019. 12. 4.
현대정치철학연구회 空房 초대석 제4회. 진태원 현대정치철학연구회 空房 초대석 제4회. 진태원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비판 없는 시대의 철학 애도에 대한 애도는 "우리의 자율성의 애도, 우리 자신을 우리 자신에 대한 척도로 만드는 모든 것에 대한 애도"를 뜻한다. 그것은 넓은 의미에서 (나르시시즘적인) 주체 중심주의에 대한 애도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 주요 학술적· 문화적 담론으로 등장한 '포스트 담론'이 마르크스주의와 민중, 민족 담론을 이미 죽은 대상 사라진 타자로 애도했을 때, 거기에는 포스트 담론(및 그것을 수입하고 적극적으로 전유한 이들)의 나르시시즘적인 주체 중심주의가 존재했다. 자신이 어떤 조건 속에서 어떤 담론을 수입하고 전유했는지, 그것이 치러야 할 이론적·정치적 대가는 무엇인지, 그것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은 어떤 .. 2019. 12. 3.
정의의 아이디어 - 아마르티아 센 2019. 12. 2.